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폴스타, 중국 차일까 스웨덴 차일까? 브랜드 정체성과 글로벌 전략을 파헤치다

by Marink9182 2025. 3. 21.

폴스타 4 (출처 : 폴스타 홈페이지)

요즘 전기차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브랜드, 폴스타(Polestar). 세련된 디자인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많은 사람들에게 ‘스웨덴 프리미엄 전기차’라는 인식을 주고 있지만, 그 실체를 들여다보면 조금 더 복잡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과연 폴스타는 진짜 스웨덴 차일까요? 아니면 중국의 브랜드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폴스타의 역사, 지리와의 관계, 생산 구조 등을 통해 브랜드 정체성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스웨덴에서 시작된 폴스타의 유래

폴스타는 원래 1996년, '플래시 엔지니어링(Flash Engineering)'이라는 이름의 모터스포츠 팀으로 시작됐습니다. 볼보 차량을 기반으로 레이싱카를 제작하면서 성장한 이 팀은 2005년 ‘폴스타 레이싱’으로 이름을 바꾸며 볼보 퍼포먼스 모델 개발에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15년, 스웨덴 자동차 제조업체 볼보가 폴스타를 인수하면서 본격적으로 고성능 차량 부문을 강화하기 시작했죠. 이때까지만 해도 폴스타는 볼보의 퍼포먼스 브랜드, 즉 AMG의 메르세데스-벤츠나 M의 BMW처럼 인식되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시대의 도래와 함께 상황은 변했습니다. 2017년, 볼보는 폴스타를 독립 브랜드로 분리했고, 폴스타는 전기차만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고급 브랜드로 새롭게 탄생하게 됩니다.

 

본사는 여전히 스웨덴 예테보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디자인과 연구개발도 이곳에서 이루어집니다. 이렇듯 폴스타는 스웨덴의 정체성을 강하게 담고 있는 브랜드로 출발했습니다.

2. 폴스타의 소유 구조: 지리 자동차와의 관계

폴스타가 단순히 스웨덴 브랜드라고만 볼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중국의 자동차 그룹 ‘지리(Geely)’와의 깊은 관계 때문입니다. 2010년, 중국 지리는 볼보를 인수하면서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이게 됩니다. 현재 볼보는 지리의 자회사이며, 폴스타는 지리와 볼보가 공동 소유한 브랜드입니다.

 

현재 폴스타의 지분 구조를 보면, 지리 스웨덴 홀딩스가 약 82%, 볼보가 약 18%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또 한 번 흥미로운 사실은, 볼보 역시 지리가 약 78.6%의 지분을 가진 자회사라는 점입니다. 결국 폴스타는 지리 그룹의 영향력 아래 있는 브랜드라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복잡한 소유 구조 때문에, 일부 소비자들은 폴스타를 ‘중국 브랜드’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특히 폴스타 차량 대부분이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다는 사실도 이러한 인식을 강화하는 요소입니다.

3. 중국에서 생산되지만, 스웨덴에서 태어난 전기차

폴스타의 첫 양산 모델인 ‘폴스타 1’은 중국 청두 공장에서 생산되었고, 이후 출시된 ‘폴스타 2’ 역시 중국 저장성 타이저우 공장에서 제조되었습니다. 향후 출시 예정인 폴스타 3, 4, 5 등도 중국 생산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생산 비용 절감과 공급망 효율화를 위한 전략적인 결정입니다. 실제로 전 세계 주요 자동차 브랜드들이 중국에서 생산 라인을 운영하고 있는 것을 보면, 폴스타의 전략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일반적인 흐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폴스타는 단순한 '중국 생산 브랜드'가 아닙니다. 차량의 설계와 엔지니어링은 스웨덴 예테보리의 연구개발 센터에서 진행되며, 디자인 역시 스웨덴 팀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폴스타 4는 한국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맡았지만 전체적인 콘셉트와 방향성은 스웨덴 철학에 기반하고 있죠.

4. 폴스타의 기술력과 지속 가능성 전략

폴스타는 단순히 예쁜 전기차를 만드는 브랜드가 아닙니다. 브랜드의 핵심 가치 중 하나는 ‘지속 가능성’입니다. 폴스타는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전 과정에서 친환경적인 접근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의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인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폴스타는 자체 OS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를 통해 차량 성능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처럼 폴스타는 단순한 제조 기반의 브랜드가 아닌, 기술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5. 결론: 폴스타는 어떤 브랜드인가?

이제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 봅니다. 폴스타는 과연 스웨덴 차일까요, 중국 차일까요?

정답은 ‘둘 다’입니다. 하지만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스웨덴 DNA를 가진 글로벌 전기차 브랜드’가 가장 적절한 표현일 것입니다. 브랜드의 기원과 철학은 스웨덴에 있으며, 개발과 디자인도 그 뿌리를 스웨덴에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본과 생산은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폴스타는 한국과 유럽 등지에서도 생산 라인을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브랜드를 보다 ‘글로벌’하게 만들겠다는 의지의 표현입니다.


정리하자면, 폴스타는 단순히 중국산 전기차라고 보기엔 그 뿌리가 너무 스웨덴답고, 스웨덴 차라고 보기엔 중국의 자본과 생산에 너무 의존적인 브랜드입니다. 하지만 그 모호함 속에서도 폴스타는 자신만의 방향성과 철학을 유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독자적인 길을 걷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그 출신보다는, 폴스타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일지도 모릅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